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8

그럼에도 계속해야 하는 이유 - 옥스팜 보고서 <밝혀지지 않은 착취>에 대해 옥스팜에서 최근발간한 보고서 를 읽었다.커버 이미지는 방글라데시 다카에서 3명의 아이를 키우고 있는 사바나의 사진이다. 그년느 10년동안 의류노동자로 주 56시간을 일한다고 한다. 그런 그녀의 소득은 호주달러로 118달러 우리나라돈으로 10만원이 조금 넘는다. 이 보고서는 크게 5개로 나뉜다. 글로벌 패션산업에서 착취의 증거, 현대판 노예제도와 착취의 원인, 호주의 사례, 최신 법안과 핵심등이다. 옥스팜은 이보고서를 통해 정부에 제안한다. 1. 2018년 현대 노예제 법을 개정하여 기업이 현대 노예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권 실사'를 수행하도록 요구한다.2. 대기업이 인권 및 환경 실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는 포괄적인 책임 있는 기업 법안을 도입하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시급히 취하십시오.3. 강제 노동을.. 2025. 9. 12.
아름다움의 표현법- 영탄법과 미화법 영탄법과 미화법은 모두 문학 작품이나 말하기에서 자주 쓰이는 수사법(修辭法, rhetoric)입니다. 1. 영탄법(詠嘆法, Exclamatory Expression)👉 감정을 고조시켜 독자나 청중이 더 크게 느끼도록 만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뜻: 감정을 강하게 드러내기 위해 감탄하는 어조로 표현하는 방법* 특징: 말하는 이의 놀라움, 슬픔, 기쁨 등을 직접적으로 드러냄* 표현 방식: “아!”, “오!”, “아아!” 같은 감탄사나 감탄형 어미를 사용* 예시: “아, 봄이여! 네가 다시 왔구나!” “오, 슬프도다! 이 운명은 누구의 탓인가!” "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 - 한용운 〈님의 침묵〉 - ‘아아’라는 감탄사를 통해 님이 떠난 슬픔과 절망을 강하게 .. 2025. 9. 1.
한국어 가르치기- 입문 1 - 한글의 유래와 모음과 자음 한글은 누가 만들었을까요? 네 한글은 세종대왕이 만들었습니다. 조선시대의 4번째 왕인 세종대왕은 과학,의학,농업, 음악 등에서 큰 업적을 쌓아 한국인의 존경을 받는 세종대왕의 가장 큰업적 중 하나는 한글을 만든 것입니다. 1443년에 만들어진 한글은 처음에 '훈민정음'이라고 했습니다. 이것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한글이 만들어지기 전 한국어를 쓸 수 있는 글자가 없어 한자를 사용했습니다 공부를 많이 한 지식인들만이 한자를 읽고 쓸 수 있었습니다. 글을 읽지 못하는 일반 백성들은 알지못해 죄를 짓거나 억울하게 벌을 받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세종대왕이 이른 백성들을 보며 글자를 만들었습니다. 쉽게 배우고 쓸 수 있는 글자 한글 한번 배워볼까요? 한글의 원리 모음모음은 기.. 2025. 7. 22.
한국어 문법 가르치기 1 - 단어와 품사 등 한국어 문법을 가르치는 것은 낱말과 문장을 가르치는 것 그리고 말과 글의 문법으로 나눌 수 있다. 낱말의 문법이란 낱말을 이루는 구성과 품사, 의미, 소리, 낱말과 문장을 학습하며 문장의 문법이란 의향법과 종결, 시제와 종결, 부정, 사동과 피동, 높임, 양태와 상을 학습한다.말과 글의 문법이란 하는 말과 문법, 듣는 말과 문법, 쓰는 글과 문법, 읽는 글과 문법을 학습하는 것을 말한다. 이 글에서는 낱말의 문법에서 품사와 의미에 대해 알아보겠다. 낱말이란? 낱말이란 단어(word)라고 하고 의미를 가진 최소의 단위를 말한다. 우리말에서는 품사의 단위와 단어의 단위가 일치한다. 이것이 무슨 뜻이냐면 하나의 단어가 하나의 품사에 해당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뜻이다. 예를들어 단어 '책'을 보면 책의 품사는.. 2025. 7.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