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5

<김약국의 딸들> 박경리, 이 소설이 가지는 역사적 의의 📚 통영을 무대로 한 3대 가족의 비극과 생명력한국의 대표적인 소설가 박경리의 『김약국의 딸들』은 1864년 고종 즉위부터 1930년대까지, 격변하는 시대 속에서 한 가문 3대에 걸친 삶을 그린 대작이다. 배경은 통영, 사시사철 따뜻한 날씨와 풍부한 수산 자원으로 어업이 발달한 도시다. 이곳은 ‘조선의 나폴리’로 불릴 만큼 아름답고, 어장아비(어장을 경영해 자본을 축적한 사람)들이 많아 자본주의에 익숙한 독특한 시골 마을이었다. 소설은 이러한 통영의 지역적 특색과, 한말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시대의 격랑 속에서 흔들리는 가족의 역사, 그리고 여성들의 욕망과 운명을 정교하게 묘사한다.🌊 통영, ‘조선의 나폴리’ — 배경의 생생한 묘사작품의 첫 장은 마치 관광서처럼 통영의 자연과 문화를 묘사하는 부.. 2025. 10. 9.
<어쩔수가 없다> 리뷰 *스포일러 포함* 포카혼타스와 춤추지 않는 존스미스 *스포일러가 가득 포함되어 있습니다.*스포일러가 가득 포함되어 있습니다. 박찬욱 감독의 어쩔수가 없다를 보았다. 리처드 스타크의 가 원작이다. 소설 는 1997년 발간된 책으로 1990년대 산업자동화에 의해 정리해고를 당한 노동자들에 대한 이야기다. 이 소설의 플롯이 2025년 지금에도 큰 공감을 블러일으키는 이유는 산업자동화에 의한 변화보다 더 무시무시한 4차혁명에 의해 대규모 인력감축이 일어나고 있는 현시대 한국, 그리고 세계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나는 킬러가 아니다. 살인자가 아니다. 그랬던 적도 없고, 그러고 싶지도 않다. 무정하고, 냉혹하고, 영혼이 없는 킬러. 그건 내가 아니다. 지금 내가 벌이고 다니는 짓은 사건의 논리에 의해 강요된 것일 뿐이다. 주주들의 논리, 임원들의 논리.. 2025. 9. 26.
<은중과 상연> 누군가에게 은중이고 상연인 우리들의 이야기 **주의** 스포일러 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초등학교 첫 만남1992년, 은중이 초등학생일 때 전학생 상연이 처음으로 반에 온다. 상연은 공부도 잘하고 집안도 든든해 보이고, 은중은 그런 상연에게 동경도 하고 질투도 느낀다. 선생님과 은중의 관계, 상연 부모님과의 비교, 소속감의 차이 등이 은중 마음속에 복합적으로 스며든다. 이 초등학교 시절 장면은 이 드라마의 정서적 기초를 다지는 중요한 순간이다. 은중의 마음속 ‘부족함’과 상연의 ‘어느 정도 완벽해 보이는 삶’이 대비되면서, 시청자로 하여금 “나도 이런 비교를 느낀 적 있지” 하고 공감하게 만든다. 이 장면 덕분에 나중에 일어나는 두 사람의 갈등이 단순한 드라마 장치가 아니라, 오래된 감정의 켜(layer)가 쌓여온 결과임을 이해하게 된다. .. 2025. 9. 21.
그럼에도 계속해야 하는 이유 - 옥스팜 보고서 <밝혀지지 않은 착취>에 대해 옥스팜에서 최근발간한 보고서 를 읽었다.커버 이미지는 방글라데시 다카에서 3명의 아이를 키우고 있는 사바나의 사진이다. 그년느 10년동안 의류노동자로 주 56시간을 일한다고 한다. 그런 그녀의 소득은 호주달러로 118달러 우리나라돈으로 10만원이 조금 넘는다. 이 보고서는 크게 5개로 나뉜다. 글로벌 패션산업에서 착취의 증거, 현대판 노예제도와 착취의 원인, 호주의 사례, 최신 법안과 핵심등이다. 옥스팜은 이보고서를 통해 정부에 제안한다. 1. 2018년 현대 노예제 법을 개정하여 기업이 현대 노예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권 실사'를 수행하도록 요구한다.2. 대기업이 인권 및 환경 실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는 포괄적인 책임 있는 기업 법안을 도입하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시급히 취하십시오.3. 강제 노동을.. 2025. 9.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