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5 한국어어휘교육론 3회차 형태소 : 의미를 지닌 최소의 단위 단일어 단일어 : 하나의 형태소가 하나의 단어를 이룸한국어 어휘 중 가장 단순한 구조를 가짐 불변화사 : 어형의 변화가 없는 품사현행 한국어의 학교문법에서는 조사를 독립된 품사로 보기 때문에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에 조사가 결합하여 하나의 어절을 이루는 것을 어형변화로 보지 않음나+는, 나+를, 저것+은, 한 개+가동사와 형용사를 제외한 모든 품사가 불변화사에 해당함나를, 저것은, 한 개가 변화사 : 단어의 어형 변화가 있는 품사한국어에서는 동사와 형용사(용언)가 해당된다.한국어의 동사와 형용사는 어간에 어미가 결합해야만 말을 활용할 수 있음한국어에서는 동사와 형용사의 어간만으로는 어떤 말도 할 수 없다. 활용 어미라고 함어간(활용할 때 형태가 변하지 않는 부분.. 2024. 12. 11. 한국어문법교육론 3회차 화용정보 ~습니다/ㅂ니다 는 격식적인 경어로 사용은/는 : 철수는 가는데 영희는 오고 있다. (대조)에 으로도달점과 방향성 : 의자에 앉으십시오 의자로 앉으십시오(x)고향에 도착차면 연락주세요. 고향으로 도착하면 연락주세요숙제를 해놨어요 , 숙제를 해 두었어요놓다는 행동의 완료정도만 밖에 뿐일반적인 경우 부정어와 어울리는 경우 이다와 쓰이는 경우선생님은 철수만 좋아한다. ~니까 ~어서그러니까(주관적 이유) 니가 그렇게 마구 먹으니까 배탈이 났지철수가 음식을 정말 많이 먹어서 배탈이 났다. (객관적 이유)초급에서는 명령청유형으로 쓰라고 제안날씨가 좋으니까 나가서 놀아요고급에가서 설명해준다. ~을 테니까의지와 추측 2024. 12. 11. 한국어 교재와 국어교과서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 한국어 교재와 국어 교과서는 학습 대상, 목적, 내용 구성이 다릅니다. 다음은 두 교재의 가장 큰 차이점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1. 학습 대상 • 한국어 교재 •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 초급부터 고급까지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수준에 따라 단계별로 구성됩니다. • 한국 문화를 이해하거나 한국에서 생활하는 데 필요한 실용적인 언어 사용에 중점을 둡니다. • 국어 교과서 •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한국인 학생을 대상으로 합니다. •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학년별로 학습자의 발달 수준에 맞춰 구성됩니다. • 문학, 비문학, 작문, 독해 등 국어의 전반적인 이해와 활용 능력을 기르는 데 초점을 둡니다. 2. 학습 목적 • 한국어 교재 • 한국어의 기본 문법,.. 2024. 12. 10. <개의 목적> 강아지에게 주인의 사랑이란?, W. 브루스 카메론 에단은 '나'를 사랑했다. 우리는 서로에게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존재였다.... 에단과 함께 살며 그를 사랑하는 것이 내 삶의 완전한 목적이 되었다. 잠에서 깬 순간부터 다시 잠들 때까지 우리는 늘 함께였다. -W. 브루스 카메론,개의 목적, p83 이 책을 읽으며 내가 마주쳤던 수많은 강아지들을 떠올려 본다. 그들에게는 주인이 있었고 그 주인들은 모두 다 다른 사람들이었는데, 강아지를 키우지 않는 나로서는 그게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몰랐다. 이 책을 읽고난 지금 강아지의 주인이 강아지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게되었다. 강아지에게 주인은 단순한 보호자가 아닌 세계 그 자체이다. 강아지들이 느끼는 안정감 그들의 일상. 그들이 살고 있는 세계. 다른 주인을 만난다는 것은 또 다른 세계 속으로 들어가는 것.. 2024. 12. 8. 이전 1 2 3 4 5 6 7 8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