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7

아름다움의 표현법- 영탄법과 미화법 영탄법과 미화법은 모두 문학 작품이나 말하기에서 자주 쓰이는 수사법(修辭法, rhetoric)입니다. 1. 영탄법(詠嘆法, Exclamatory Expression)👉 감정을 고조시켜 독자나 청중이 더 크게 느끼도록 만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뜻: 감정을 강하게 드러내기 위해 감탄하는 어조로 표현하는 방법* 특징: 말하는 이의 놀라움, 슬픔, 기쁨 등을 직접적으로 드러냄* 표현 방식: “아!”, “오!”, “아아!” 같은 감탄사나 감탄형 어미를 사용* 예시: “아, 봄이여! 네가 다시 왔구나!” “오, 슬프도다! 이 운명은 누구의 탓인가!” "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 - 한용운 〈님의 침묵〉 - ‘아아’라는 감탄사를 통해 님이 떠난 슬픔과 절망을 강하게 .. 2025. 9. 1.
한국어 가르치기- 입문 1 - 한글의 유래와 모음과 자음 한글은 누가 만들었을까요? 네 한글은 세종대왕이 만들었습니다. 조선시대의 4번째 왕인 세종대왕은 과학,의학,농업, 음악 등에서 큰 업적을 쌓아 한국인의 존경을 받는 세종대왕의 가장 큰업적 중 하나는 한글을 만든 것입니다. 1443년에 만들어진 한글은 처음에 '훈민정음'이라고 했습니다. 이것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한글이 만들어지기 전 한국어를 쓸 수 있는 글자가 없어 한자를 사용했습니다 공부를 많이 한 지식인들만이 한자를 읽고 쓸 수 있었습니다. 글을 읽지 못하는 일반 백성들은 알지못해 죄를 짓거나 억울하게 벌을 받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세종대왕이 이른 백성들을 보며 글자를 만들었습니다. 쉽게 배우고 쓸 수 있는 글자 한글 한번 배워볼까요? 한글의 원리 모음모음은 기.. 2025. 7. 22.
한국어 문법 가르치기 1 - 단어와 품사 등 한국어 문법을 가르치는 것은 낱말과 문장을 가르치는 것 그리고 말과 글의 문법으로 나눌 수 있다. 낱말의 문법이란 낱말을 이루는 구성과 품사, 의미, 소리, 낱말과 문장을 학습하며 문장의 문법이란 의향법과 종결, 시제와 종결, 부정, 사동과 피동, 높임, 양태와 상을 학습한다.말과 글의 문법이란 하는 말과 문법, 듣는 말과 문법, 쓰는 글과 문법, 읽는 글과 문법을 학습하는 것을 말한다. 이 글에서는 낱말의 문법에서 품사와 의미에 대해 알아보겠다. 낱말이란? 낱말이란 단어(word)라고 하고 의미를 가진 최소의 단위를 말한다. 우리말에서는 품사의 단위와 단어의 단위가 일치한다. 이것이 무슨 뜻이냐면 하나의 단어가 하나의 품사에 해당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뜻이다. 예를들어 단어 '책'을 보면 책의 품사는.. 2025. 7. 22.
한국어 수업을 할 때 유의해야 할 13가지 핵심 포인트 한국어 강사가 되기를 꿈꾸는 예비 강사라면, 단순히 한국어 문법이나 어휘를 전달하는 것을 넘어서,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어야 한다. 효과적인 한국어 수업을 위해서는 몇 가지 중요한 유의사항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아래는 한국어 수업을 준비하고 진행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13가지 핵심 포인트이다. 1. 학습 목표는 학습자의 요구와 능력에 맞추어 설정한다 한국어 수업의 시작은 학습 목표 설정이다. 이 목표는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과 학습 목적(예: 여행, 유학, 취업 등)에 부합해야 한다. 목표가 현실적이고 구체적일수록 수업의 방향이 명확해지고, 학습자도 수업의 흐름을 잘 따라올 수 있다. 2. 학습자의 선행지식을 자극하여 동기를 유발한다 이미 알고 있는 내용에서 출발하여 새로운 .. 2025. 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