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7

한국어 9품사 완벽 정리|초보자를 위한 문법 가이드 국어 품사란 무엇일까요?품사는 단어의 역할에 따라 분류한 문법적인 이름입니다. 문장을 구성하는 단어들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알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개념이죠. 오늘은 한국어의 9가지 품사를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4. 부사 : 용언을 수식하거나 다른 부사를 수식할 수 있는 단어5. 조사 : 앞에 명사나 어미가 와야 하는 단어 예) -6. 어미 : 앞에 동사나 어미가 와야하는 단어 예) -다, -라 -자 -면 -니 -음 -은 -었 -겠-7. 접속사 : 문장과 문장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단어 예) 그러나 그리고 그러므로8. 간투사 : 문장의 기본 구조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단어 예) 예,글쎄, 얼씨구, 아야, 흠, 쿵1. 체언: 이름을 나타내는 말 명사, 대명사, 수사가 포함됩니다. • 명사.. 2025. 4. 23.
중의법이란? 뜻과 쉬운 예시로 배우는 국어 표현법 국어 시간에 배우는 표현법 중에 중의법은 특히 재미있는 표현이에요.한 문장이나 말에 두 가지 이상의 뜻이 담겨 있어서, 듣는 사람이나 읽는 사람의 해석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는 표현이죠.이 글에서는 중의법의 정의, 대표적인 예시, 실제 활용법까지 쉽고 자세히 설명해드릴게요. 📌 중의법이란? **중의법(重義法)**은 하나의 표현에 두 가지 이상의 의미가 들어 있는 표현 기법입니다.이 말은 듣는 사람이나 문맥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죠.시나 소설, 광고 문구, 말장난 등에서 자주 쓰이며, 독자나 청자의 상상력과 해석의 재미를 이끌어냅니다. 💡 중의법 예시 중의법은 우리가 일상에서도 종종 마주치는 표현이에요. 아래 예시를 보면 이해가 훨씬 쉬워질 거예요. ✅ 예시 1 “동재는 정말 날아다.. 2025. 4. 2.
대유법 총정리! 제유법과 환유법의 구분 국어 표현법 중에서 많은 학생들이 헷갈리는 것이 바로 대유법입니다. 대유법은 문장을 더 생생하고 풍부하게 만들어주는 비유법 중 하나인데요, 제유법과 환유법이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뉘어 설명할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대유법의 뜻, 제유법과 환유법의 차이, 그리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예시들을 정리해드릴게요. 📌 대유법이란? **대유법(代喩法)**은 어떤 대상을 직접 말하지 않고, 그것과 관련된 다른 표현으로 대신 나타내는 방식입니다. 다시 말해, 어떤 사물이나 개념을 연관된 것으로 바꿔서 표현하는 것이죠.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건, 대유법은 단일 개념이 아니라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뉜다는 점입니다.그게 바로 오늘의 주제인 제유법과 환유법입니다. 📘 제유법이란? (대유법의 한 종류) **제유법(提喩法.. 2025. 4. 2.
지구의 날을 맞이하여 - what fuels fashion? 2021년 부터 패션레볼루션의 패션투명성지수를 번역해왔습니다. 패션투명성지수를 번역하며 알게 된 패션의 영향력은 어마어마했습니다. 그 부정적이고 파괴적인 영향력이 패션캠페이너로 활동하는 나를 매우 무기력하게 만들때도 있었지만, 패션에서의 크고 작은 긍정적이고 창의적 해결의 사례들은 삶의 많은 영감을 주었고 다시 작지만 좋은 시도들을 할 수 있게 했습니다. 패션투명성 지수가 아니었다면 가나의 수도 아크라의 칸타만토에 중고시장에서 자기몸의 몇배나 되는 옷꾸러미를 가지고 다니다 척추가 휘어진 소녀의 이야기를, 극단적인 기후위험으로 살던 곳에서 이주해야 하는 수단의 난민들이 수공예품을 만들며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칠레의 아타마카의 거대한 땅이 모자르도록 지금도 실려오는 옷무더기의 이야기를 알지 못했.. 2025.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