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5 <극우 유투버에서 아들을 구출해 왔다> 틀린 말 없는데 왠지 이상할때 교육학적 관점에서 또 한가지 중요한 문제는 이런 혐오적이고 억압적인 발언이 나왔을 때주변 친구들이 이를 적극적으로 제지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특정 학생이 남성성을 과시하고 '강자'로 자신을 포장하면, 이를 반대하거나 제지하는 순간 자신이 '약자'로 취급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남성성과 권력을 강조하는 친구 앞에서는 혐오 표현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침묵하게 됩니다.-본문 중에서 알고리듬이라는게 무섭다. 정치적인 컨텐츠를 안보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어느순간 슬그머니 한두개씩 정치컨텐츠를 보낸다. 내가 그 영상을 끝까지 보는순간 한개두개가 다서여섯개가 되고 내용은 더 노골적인 된다. 그러다 보면 사람들이 많이 보는 컨텐츠를 보게 되는데 한쪽의 입장에서 편집된 영상이다보니 보면 볼수록 그 정치인의 논리가 .. 2025. 10. 13. 2025 What Fuels Fashion? 패션산업을 지탱하는 화석연료실태, 패션투명성지수 🌍 2025 What Fuels Fashion? — 패션 산업의 화석연료 의존과 청정 열원 전환의 시급성「What Fuels Fashion?」은 패션 NGO인 패션레볼루션(Fashion Revolution)이 매년 발간하는 연간 보고서로, 전 세계 200개 주요 패션 브랜드의 기후·에너지 정책과 공급망 공개 현황을 조사해 발표한다.기존의 「패션 투명성 지수(Fashion Transparency Index)」에서 2024년부터 「What Fuels Fashion?」으로 명칭을 바꾼 것은, 패션 산업이 기후 위기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과 에너지 전환의 필요성을 더욱 강조하기 위함이다. 🔥 ‘Fuel’의 이중적 의미: 패션 산업을 지탱하는 화석연료 보고서 제목의 Fuel은 문자 그대로 ‘땔감’, ‘연료를.. 2025. 10. 12. <오랑주리 오르세 미술관 특별전> 전시작품 사전학습 포인트 오랑주리 미술관은 튀일리 정원 안에 자리한 작은 규모의 미술관으로, 과거 오렌지를 재배하던 식물원(오랑주리)을 개조해 만든 공간이다. 식물원으로 사용되었던 건물답게 자연 채광이 뛰어나며, 이러한 밝고 부드러운 빛은 인상파 회화 작품 전시에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이곳은 특히 클로드 모네(Claude Monet)의 대표작인 수련 연작(Water Lilies) 중 가장 대형 규모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말년의 모네가 직접 전시 공간을 기획·제작해 1927년에 완성된 점 또한 주목할 만하다.이번 전시에서는 모네의 작품보다는 폴 세잔(Paul Cézanne)과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Pierre-Auguste Renoir)의 작품이 중심적으로 소개되었다. 대표적인 전시작으로는 르누아르의 .. 2025. 10. 10. <프리마 파시>를 보고, 정의와 진실은 무엇인가 최근 나는 판소리로 유명한 이자람의 일인극 프리마파시를 관람했다. 는 라틴어로 "겉보기에는"이라는 뜻이 담겨 있으며 법률적으로는 '우선은 증거가 충분해 보여 더이상 증명이 없어도 사실로 간주되는 상황'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겉으로 드러난 증거만으로 유죄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상황을 말한다. 이 연극의 제목인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 연극의 제목이 인 이유? 이 연극은 주인공 테사(Tessa)의 시점으로 진행되는 1인극이다. 테사는 법조계에서 정황 증거만으로 사건을 판단하며 승승장구해온 유능한 여성 변호사다. 그러나 어느 날 자신이 피해자가 되는 사건을 겪으며, 자신이 믿어온 법체계가 피해자인 자신의 목소리를 담아내지 못한다는 모순을 깨닫게 된다. 이 지점에서 ‘프리마 파시’라는 용어는 단순한 법률적.. 2025. 10. 10. 이전 1 2 3 4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