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패션8 패션산업의 구매관행(Purchasing Practices)에 대해 대형 브랜드들은 대부분 자신들의 공장에서 상품을 생산하지 않는다. 해외의 공급업체를 찾아 생산을 맡긴 후 비용을 지불한다. 이 비용은 어떻게 책정되고 협상되는지 생산이 시작하기 전에 기술에 대한 스펙(사양)의 합의는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구매관행이란? 구매관행은 구매자(주로 브랜드)와 공급업체(생산공장)와 관계를 맺는 방식을 가리키는 포괄적인 용어이다.(아시아가먼트허브,2023) 생산한 상품에 대해 언제 비용을 지불할 것인지 결재대금은 어떻게 협상이 되는지 생산 전에 기술사양(어떤 식으로 옷이 만들어지길 원하는지에 대한 상세적 내용)이 합의가 된 것인지가 이 구매관행에 포함된다. 오랫동안 브랜드 구매관행을 분석해 온 연구기관인 더나은구매연구소(The better buyin.. 2023. 9. 21. 매일 2명이 인도의 목화농장에서 자살하는 이유 인도의 임산부 요기타는 혼자 생활을 하고 있다 같이 살던 시아버지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지 얼마되지 않아 남편이 자살했기 때문이다. 그들의 자살은 같은 이유였다. "빚이 너무 많아서" 인도의 농민을 보호하는 단체인 VJAS(Vidarbha Jan Andolan Samiti)에 따르면 인도 서쪽 지역 면화가 생산되는 곳에서는 매일 2~3명이 자살한다고 한다. 그들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2013년부터 이 지역에서만 2,900명의 농부가 자살했다. 날씨에 의해 면화 수확에 실패했거나 퀄리티가 좋지 않아 판매되지 못한 목화에 의해 수입을 얻지 못한 농부들은 엄청난 빚을 떠안게 된다고 한다. 또한 2012년에는 면화 생산이 풍년이라 사상 최대치의 면화가 수확되어 면화의 가격이 떨어짐에 따라 빚을 갚지 못한 사람들이.. 2023. 9. 21. 패션산업의 순환모델, 선형시스템으로부터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의류산업은 생산과 소비를 극대화하도록 설계된 선형시스템으로 원자재-디자인 프로세스-입고-버리거나 소각해버리는 관례를 지난 수십년 동안 해왔다 .그 결과 기후 위기에 큰 영향을 주었고 사회 및 환경 문제의 주범으로 손가락질 받는 세계 2위의 공해 산업이 되었다. 이러한 산업구조를 변화시키려고 최근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일어나고 있다. 오늘은 그 노력에 대한 이야기를 써보려고 한다. 과학자들은 기존 섬유의 탄소발자국을 줄이기 위한 대체 재료를 고안하고, 브랜드는 제품을 순환 시킬수 있는 순환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스타트업을 포함한 IT회사들은 중고플랫폼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이런 모든 활동들의 중심에는 소비자의 관심이 중요하다. 혁신적인 소재의 사용을 확장하기 위해 고객은 폴리에스터를 제.. 2023. 9. 18. 1911년 뉴욕 셔츠공장의 화재사고_의류노동자의 안전에 대한 요구 지금의 뉴욕을 보면 어디 공장이 있었겠냐 싶냐마는 1911년 뉴욕의 10층짜리 아시Asch빌딩에는 3개의 층을 사용하고 있는 셔츠공장이 있었다. 설계 당시 3개의 구역에 계단을 설치할 예정이었지만, 건물외벽에 화재비상용 사다리가 있으니 두개만 설치하자는 생각에 그대로 둔채 600명이 넘는 근로자가 그 안에서 일하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날 화재가 발생하고 불길이 빠르게 번지면서 근로자들은 비상구를 찾아 아수라장이 되엇으며 10층에서 일하던 직원은 지붕으로 9층에서 일하던 노동자는 계단으로 내려갔지만 9 층의 근로자들은 잠겨있는 문을 열수 없었고 외벽에 가느다란 철제 화재 탈출로에 의존할 방법외에는 없었다. 이 철제 사다리에는 많은 수의 사람이 동시에 매달려 무게를 이기지 못해 떨어졌고 그 날 하루 146명.. 2023. 9. 13.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