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6

한국어문법교육론 3회차 화용정보 ~습니다/ㅂ니다 는 격식적인 경어로 사용은/는 : 철수는 가는데 영희는 오고 있다. (대조)에 으로도달점과 방향성 : 의자에 앉으십시오 의자로 앉으십시오(x)고향에 도착차면 연락주세요. 고향으로 도착하면 연락주세요숙제를 해놨어요 , 숙제를 해 두었어요놓다는 행동의 완료정도만 밖에 뿐일반적인 경우 부정어와 어울리는 경우 이다와 쓰이는 경우선생님은 철수만 좋아한다.  ~니까 ~어서그러니까(주관적 이유) 니가 그렇게 마구 먹으니까 배탈이 났지철수가 음식을 정말 많이 먹어서 배탈이 났다. (객관적 이유)초급에서는 명령청유형으로 쓰라고 제안날씨가 좋으니까 나가서 놀아요고급에가서 설명해준다.  ~을 테니까의지와 추측 2024. 12. 11.
한국어 교재와 국어교과서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 한국어 교재와 국어 교과서는 학습 대상, 목적, 내용 구성이 다릅니다. 다음은 두 교재의 가장 큰 차이점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1. 학습 대상  • 한국어 교재 •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 초급부터 고급까지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수준에 따라 단계별로 구성됩니다. • 한국 문화를 이해하거나 한국에서 생활하는 데 필요한 실용적인 언어 사용에 중점을 둡니다. • 국어 교과서 •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한국인 학생을 대상으로 합니다. •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학년별로 학습자의 발달 수준에 맞춰 구성됩니다. • 문학, 비문학, 작문, 독해 등 국어의 전반적인 이해와 활용 능력을 기르는 데 초점을 둡니다. 2. 학습 목적  • 한국어 교재 • 한국어의 기본 문법,.. 2024. 1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