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패션이야기19 🧵 Let’s Face the Local Issues: 한국 패션산업이 마주한 현실과 과제 최근 몇 년 사이, K패션은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K-pop 아티스트들이 입은 옷은 해외 팬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고, 드라마 속 스타일은 글로벌 트렌드로 떠오르곤 하죠. 이처럼 한국 패션의 외형은 매우 화려해 보입니다. 하지만 겉보기와 달리, 국내 패션산업 내부는 여러 구조적 한계와 문제점을 안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 패션산업의 주요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방향도 함께 고민해보고자 합니다. 1️⃣ 중소 브랜드의 생존 위기 – 자본과 인프라 부족 한국에는 뛰어난 감각을 지닌 신생 패션 브랜드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소규모 사업체에 불과하며, 디자인뿐 아니라 생산, 유통, 마케팅까지 모든 단계를 직접 감당해야 하는 어려움에 부딪힙니다. 특히 최근.. 2025. 4. 1. 기부한다던 옷은 어디로?Take-back Trickery 2023년 7월 23일 - 재사용 또는 재활용을 위해 주요 패션 매장에 기부된 의류의 4분의 3이 실제로는 폐기되거나 창고에 버려지거나 아프리카의 불확실한 미래로 보내진다는 대규모 추적 조사 결과가 나왔다. NGO를 지원하는 체인징 마켓 재단은 Apple 에어태그를 사용하여 21개의 완벽한 상태의 코트, 바지, 재킷 및 기타 중고 의류가 테이크백 제도를 통과할 때 이를 추적했다. 이들의 브랜드는 "옷에 두 번째 생명을 불어넣어주세요", "루프를 닫자", "원을 완성하자"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옷을 회수받았다. 이러한 슬로건에도 불구하고 기부 물품의 4분의 3(21개 중 16개, 76%)이 폐기되거나 창고에 방치되거나 아프리카로 수출되었으며, 아프리카에서는 중고 의류의 최대 절반이 다른 용도로 빠르게 파쇄되.. 2023. 10. 19. 면의 지속가능성(COTTON SUSTAINABILITY)을 위한 과제 지속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할 때 면화만의 환경적 영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치 사슬의 전반적인 지속가능성을 의미한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통적인 방식을 통한 면화 생산은 환경적 지속가능성에서 해결해야할 많은 과제들이 있다. 전통적인 생산 방식은 생태계에 해를 끼친다는연구결과들과 이 페이지에서는 환경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으로 파악해보려고 한다. 면화 가치 사슬은 면화 농장에서 시작하여 소규모 농부, 제분소, 생산 공장, 소매점,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이르는 원단 및 의류 제품으로 끝난다. 제품이 공급망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통과할 때 제품의 물리적 속성에 약간의 부가가치가 더해진다. 아래 그림은 농장에서 소매점까지 면화의 여정을 보여준다. 1. 물사용량 면화는 가장 건조한 작물이며 면화.. 2023. 10. 13. 신소재의 비밀 : 화석 연료에 대한 패션 브랜드의 중독(Synthetics Anonymous Fashion brands’ addiction to fossil fuels) 이 글은 체인징 마켓에서 조사발표한 2021년 보고서 Synthetics Anonymous Fashion brands’ addiction to fossil fuels를 요약한 것이다. 요약 이 보고서는 일부 대형 패션 브랜드와 소매업체의 합성 섬유 사용과 관련한 행태를 조사하며, 합성 섬유 사용 및 이에 대한 투명성을 조사한다. 패션 업계와 널리 퍼져 있는 패스트패션 비즈니스는 모델은 석유와 가스 등 화석 연료로 생산되는 값싼 합성 섬유의 사용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2000년대 초반부터 패션 생산량은 두 배로 증가했으며, 폴리에스테르의 사용량도 두 배로 증가하여 현재 전체 섬유의 폴리에스테르의 사용량이 두 배로 증가했다. 합성섬유는 섬유에 사용되는 모든 소재의 3분의 2(69%) 이상을 차지하며, 20.. 2023. 10. 4. 이전 1 2 3 4 5 다음